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한 지원사업 총정리 (2025년)
최근 초혼 연령과 첫 출산 연령이 높아지면서 난임, 임신 합병증 등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 이에 따라 정부는 임신을 준비하는 모든 남녀를 위해 사전 건강관리와 가임력 보존을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을 확대 시행합니다.
🔹 1.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확대
이제 결혼 여부 및 자녀 수와 관계없이 모든 20~49세 남녀가 가임력 검사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📌 지원 개요
- 지원 대상: 20~49세 남녀 (내국인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도 포함)
- 지원 내용: 가임력 검사 비용 지원
- 지원 횟수: 최대 3회 (29세 이하 / 30~34세 / 35~49세)
📌 지원 항목 및 금액
- 여성: 난소기능검사(AMH) 및 부인과 초음파 (최대 13만 원 지원)
- 남성: 정액검사(정자정밀형태검사) (최대 5만 원 지원)
✅ 신청 방법
- 온라인 신청: e보건소에서 신청
- 방문 신청: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후 신청
🔄 지원 절차
- e보건소 또는 보건소 방문 신청
- 보건소 승인 후 검사의뢰서 발급
- 의료기관 방문하여 검사 진행
- 검사 후 3개월 이내 결과 상담
- 검사비 청구 및 지원금 지급 (검사 후 1개월 이내 청구 가능)
🔹 2. 생식세포 동결보존비 지원사업 신설
의학적 이유로 인해 생식 건강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남녀를 대상으로, 생식세포(난자·정자) 동결보존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 신설됩니다.
📌 지원 개요
- 지원 시작: 2025년 4월
- 지원 대상: 의학적 사유로 가임력 손상이 우려되는 남녀 (결혼 여부 무관)
- 지원 항목: 과배란 유도, 생식세포 채취 및 동결 보존 비용 지원
📌 지원 금액
- 여성: 최대 200만 원
- 남성: 최대 30만 원
✅ 신청 방법
- 온라인 신청: e보건소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(2025년 4월부터)
- 방문 신청: 보건소에서 신청 가능
🏁 마무리
임신과 출산을 위한 준비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. 정부 지원을 활용하여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준비하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