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 새로워진 출산·양육 지원정책 한눈에 2

by 세모이다2 2025. 1. 31.
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한 지원사업 총정리 (2025년)

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한 지원사업 총정리 (2025년)

최근 초혼 연령과 첫 출산 연령이 높아지면서 난임, 임신 합병증 등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 이에 따라 정부는 임신을 준비하는 모든 남녀를 위해 사전 건강관리와 가임력 보존을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을 확대 시행합니다.

🔹 1.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확대

이제 결혼 여부 및 자녀 수와 관계없이 모든 20~49세 남녀가 가임력 검사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📌 지원 개요

  • 지원 대상: 20~49세 남녀 (내국인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도 포함)
  • 지원 내용: 가임력 검사 비용 지원
  • 지원 횟수: 최대 3회 (29세 이하 / 30~34세 / 35~49세)

📌 지원 항목 및 금액

  • 여성: 난소기능검사(AMH) 및 부인과 초음파 (최대 13만 원 지원)
  • 남성: 정액검사(정자정밀형태검사) (최대 5만 원 지원)

✅ 신청 방법

  • 온라인 신청: e보건소에서 신청
  • 방문 신청: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후 신청

🔄 지원 절차

  1. e보건소 또는 보건소 방문 신청
  2. 보건소 승인 후 검사의뢰서 발급
  3. 의료기관 방문하여 검사 진행
  4. 검사 후 3개월 이내 결과 상담
  5. 검사비 청구 및 지원금 지급 (검사 후 1개월 이내 청구 가능)

🔹 2. 생식세포 동결보존비 지원사업 신설

의학적 이유로 인해 생식 건강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남녀를 대상으로, 생식세포(난자·정자) 동결보존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 신설됩니다.

📌 지원 개요

  • 지원 시작: 2025년 4월
  • 지원 대상: 의학적 사유로 가임력 손상이 우려되는 남녀 (결혼 여부 무관)
  • 지원 항목: 과배란 유도, 생식세포 채취 및 동결 보존 비용 지원

📌 지원 금액

  • 여성: 최대 200만 원
  • 남성: 최대 30만 원

✅ 신청 방법

  • 온라인 신청: e보건소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(2025년 4월부터)
  • 방문 신청: 보건소에서 신청 가능

🏁 마무리

임신과 출산을 위한 준비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. 정부 지원을 활용하여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준비하세요!

📌 e보건소에서 신청하기